본문 바로가기

써먹어봄/시간단축 엑셀

[엑셀공부하징] 엑셀로 당첨자 발표할 때 정보 가리기 (이름, 전화번호, ID 일부 가리기)

 

 

 

 

개인정보에 민감한 요즘,

당첨자 발표할 때 이름은 가리고 공지하라고 하는데

당첨자는 1,000명!

하나하나 이름 가운데를 O나 *로 바꿀 생각에 막막했다면

지금 이 포스팅을 봅시다

 

--------------------------------------------

내 맘대로 난이도

(1~5점, 1점에 가까울 수록 쉽고 간단하고, 5에 가까울수록 귀찮고 복잡하다)

 

난이도 : □ ( 3점 : 수식을 2개를 같이 써서 난이도가 높다고 느낄 수 있다  )

사용방법 : □ ( 4점 : 쉬운데 입력하기 귀찮을 순 있다 )

활용도 :  ( 3점 : 당첨자를 많이 발표하는 분이라면.. 많이 쓸 수도 있지 않을까 )

--------------------------------------------

 

 

언제 쓰면 좋을까

 

여러가지 상황이 있을 수 있겠지만,

아마 이런 상황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함수일 것 같다

당첨자 발표를 한다거나, 개인정보를 어딘가에 보내야 하는데

민감한 부분은 부분 가림처리 하고 보낼 때

이름 가리기, ID 가리기, 전화번호 가리기 등 다양한

정보 가리기 방법이 있을 것 같다

 

아래처럼 이름의 일부, ID의 일부, 전화번호의 일부를 가리는 방법이다.

각각 끝글자 바꾸기, 앞글자 바꾸기, 가운데 글자 바꾸기를 알아보자

 

 

수십개 정도야 손으로 일일이 바꾸겠지만.. 수백개, 수천개를 하나씩 하다가는 현타옵니다

 

 

정보가리기 이렇게 해보자

 

0. 원리- 셀의 n번째 글자를 다른 글자로 바꾸는 것

 

결국 정보가리기의 핵심은 이것이다,

첫 글자를 *로 해라, 끝글자를 O로 해라, 가운데글자를 X로 해라 등 다른 글자로 바꾸라는 것인데

이렇게 뭔가 글자를 바꿀 때 쓰는 함수가 "substitute"이다.

단어자체가 대용물, 대체물이라는 뜻이므로 이 글자를 다른 글자로 대체할 때 쓰는 함수라 보면 된다

 

=substitute(변경하려는 글자가 포함된 단어, 변경 대상인 글자, 바꾸고 싶은 글자)

 

즉, 가다나를 가나다로 바꾸고 싶다면

=substitute("가다나","다","나")

로 입력하면 가나다로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가다나"자리에 보통 셀 위치를 많이 입력한다.

변경하려는 글자가 있는 셀을 클릭한다고 보면 된다.

 

색깔을 잘 기억하면서 아래를 보자

 

 

1. 끝 글자 바꾸기를 해보자

 

 

수식의 = 다음 글자를 아래 색깔별로 나눠서 살펴보자

 

기본 원리는 같다.

다만 위에서 파란색 영역 증 변경대상인 글자가 이름마다 다 다를 것이므로 "위치"를 지정해주는 것이다.

위 수식을 해석해보면

 

b13 = 바꾸자  (b13은 셀의 위치이다, 여기서는 바꾸자를 의미)

right(b13,1) = 바꾸자의 가장 오른쪽의 한 글자,

"O" = 변경대상을 O로 변경한다

 

라는 의미인 것이다. 원리에서 색깔별로 대입해보면 된다

 

2. 첫 글자 바꾸기를 해보자

 

 

수식의 = 다음 글자를 아래 색깔별로 나눠서 살펴보자 right부분이 달라졌다

 

1과 큰 차이가 없다 right가 left로 바뀔 뿐이다 (abcd1234는 ID라 생각해보자)

 

b15 = abcd1234,

left(b15,3) = abcd1234의 가장 왼쪽의 세 글자 (세 번째가 아니라 세 글자다) 

 - 4글자를 바꾸고 싶으면 3대신 4를, 1글자만 바꾸고 싶으면 3대신 1을 쓰면 된다

"***" = 변경대상을 ***로 변경한다

 - 3글자를 지정했기 때문에 ***3개를 넣었다, 3글자지만 * 하나로 변경할 수도 있고, 아니면 4글자를 변경하고 **** 4개를 입력할 수도 있다.

 - 물론 *대신 X나 O나 원하는 아무글자를 큰따옴표("")안에 써 넣기만 하면 된다.

 

 

3. 중간 글자 바꾸기를 해보자

 

 

역시, 수식의 = 다음 글자를 아래 색깔별로 나눠서 살펴보자

 

여기에서는 mid함수를 쓰면 된다

 

b21 = 010-1234-5678,

mid(b21,5,4) = 010-1234-5678의 5번째 글자부터 4글자를 의미한다.

- 0,1,0,-,"1" = 1이 5번째 글자가 되고 거기서부터 4글자는 1234를 의미한다.

"XXXX" = 변경대상을 "XXXX"로 변경한다

- 역시 위에서 4글자로 지정했기 때문에 X를 4개 썼다. 갯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설명이 길었지만 해보면 간단하다

눈으로만 쫓지말고 직접 해보자

이제 1,000명의 전화번호 가리기, 이름 가리기, ID 가리기가 당첨되더라도

2~3시간씩 하나하나 바꿀 필요가 없다

수식을 입력하는 1분이면 충분하다

 

궁금한 엑셀이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그럼 정보가리기는 끝!

오늘은 한걸음 더는 없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 제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