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번째 심리한 용어는 개연성 무시이다.
벌써 다섯 번째라니 감개 무량하다.
개연성 무시는 사람의 판단이란 얼마나 이성적이지 않은가를 볼 수 있는 것이다.
개연성 무시는 뭘까?
통계적 확률 정보를 무시하고, 구체적이고 생생한 정보에 의존하여 잘못된 판단을 내리는 편향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개연성이 낮은 사건이나 정보를 과대평가하고,
실제 확률에 기반한 중요한 정보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개연성 무시가 발현된다
구체적인 정보에 대한 과도한 신뢰
사람들은 내가 경험해보지 않은 확률정보보다, 내가 경험해본 구체적이고 감정적으로 와닿는 정보를 선호한다.
이런 특징 때문에 개연성 무시가 발현된다
사례 중심적 판단
이 역시 비슷하다. 아무리 어떤 것이 확률이 높다고 해도
특정한 사례로 들려오는 것, 이야기로 설득력 있게 전파되는 것을 확률보다 더 신뢰하게 된다.
인지 부하의 감소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단순한 걸 선호한다.
그래서 복잡한 확률 계산보다 단순한 정보에 의존하려는 성향이 있다.
알듯말듯하다면 일상사례로 살펴보자
진단결과에서 나타난다
갑자기 몸의 변화에 나타났고, 찾아보니 어떤 질병의 증후군과 유사하다면 대부분 자기가 그 질병에 걸렸다고 확신할 것입니다.
실제 발병 확률이 매우 낮고, 내가 아직 병원에서 진단을 받기 전이라도 사람들은 확신하는 경향이 있다.
범죄 보도
강력한 범죄 사건이 뉴스에서 자주 보도되면, 사람들은 실제보다 더 흔하다고 생각하게 된다.
로또 구매
로또 당첨 확률은 정말정말 낮다. 그런데 매주 당첨자가 나오고 성공 사례가 생각보다 나의 일상과 가깝다 느낀다면
자신의 당첨 간으성을 실제보다 과대평가 하는 경향이 있다.
트로이 목마도 개연성 무시를 찾아볼 수 있다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군은 거대한 목마를 만들어 트로이인들에게 선물을 보낸다.
사실 확률적으로 전쟁에서는 이런 모든 것을 의심해야 하는 것으로 확률적으로 높다.
그런데 이런 속임수를 쓸 가능성(높은 확률)이라는 간과 하고,
"선물이라는 구체적인 상징"에만 의존해서 판단해서 패배라는 결과를 맞이하게 된다.
이도 개연성 무시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탐구해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용어 | 꼭 필요해 산 거야, 구매 합리화 (0) | 2025.02.12 |
---|---|
심리학 용어 | 신년 계획은 무조건 달성? 계획의 오류 (1) | 2025.02.06 |
심리학 용어 | 프로야구 "명장" 감독은 결과편향이 만든다? (1) | 2025.01.31 |
심리학 용어 | 법정증언은 다 진실일까 거짓기억과 오기억 (1) | 2025.01.22 |
심리학 용어 | 공부할 때 알아야 할 간격효과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