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탐구해봄

책읽징 / 시카고플랜 - 고전읽기를 위한 도서 리스트

 

갓 설립된 이름없는 사립대에 불과했던 시카고 대학을

노벨수상자를 역대 4번째로 많이 배출한 학교로 도약시킨 근원은

바로 이 시카고 플랜,

바로 고전읽기에 있었다고 한다.

 

고전을 읽는 다는 것은,

어쩌면 치트키 같은 것은 아닐까.

우리를 둘러싼 기술은 바뀌었지만,

인간의 본질적인 면과 자연은 바뀌지 않았다.

태양이 안 뜨는 날이 생겼다거나, 

인간의 욕망이 사라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과거를 엿봄으로써,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지 방향을 알게 되는 것이니

치트키가 아닐까 한다.

그 뿐만 아니라 검색으로 사색할 틈을 잃은 우리에게 꼭 필요한 시간들일지도 모른다

 

정말 긴 시간이 걸릴지라도 천천히 보약을 먹듯이 읽어내려가고자 한다

 

아래는 시카고플랜 도서리스트

 

시카고 플랜을 도입했던 로버트 허킨스 총장은 그냥 고전읽기를 할 것이 아니라, 아래 세가지를 기억하라고 했다고 한다.

"첫째, 모델을 정하라 : 너에게 가장 알맞는 모델을 한명 골라라",

"둘째, 영원불변한 가치를 발견하라 : 인생의 모토가 될 수 있는 가치를 발견하라",

"셋째, 발견한 가치에 대하여 꿈과 비젼을 가져라".

 

 

고전읽기에서 빠질 수 없는, 이 읽기의 근원이 된 것이 바로 '존 스튜어트 밀'식의 독서법이다.

나는 아래 네가지를 기억하면서 천천히 읽어나갈 예정이다

 

1. 먼저 철학 고전 저자에 관해 쉽게 설명한 책을 읽는다. (포인트는 쉽게!)

2. 철학 고전을 통독한다. 이해가 잘 되지 않더라도 그냥 읽는다. 소리 내어 읽으면 더욱 좋다. (일단 다 읽어라!)

3. 정독을 한다.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을 만나면, 어느 정도 이해가 가능할 때까지 몇 번이고 되풀이해서 읽는다. 특히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은 크게 소리 내어 읽을 것을 권면한다. (반복하고, 소리내어 읽어라!)

4.노트에 중요 구문 위주로 필사를 하면서 통독한다. 필사는 철학 고전 독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필사를 통해 철학 고전 저자의 사고 능력을 조금이나마 내 것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필사를 하면, 몇 번이고 정독할 때도 이해 불가능하던 구절들이 순간에 이해될 수 있다. (필사하고 통독해라!)

 

 

몇 해가 걸릴지 모르지만(^^;) 천천히 아래 리스트를 업데이트해 나갈 예정!

천천히 채워지길 바라며..!

 

1 - 4/16

  • [✔] ** - 미합중국독립선언서
  • [✔] 플라톤 - 소크라테스의 변명, 크리톤 (포스팅 보기go)
  • [✔] 소포클레스 - 안티고네
  • [ ] 아리스토텔레스 - 정치학
  • [ ] 플루타크 - 영웅전
  • [ ] ** - 신약 중 마태복음
  • [ ] 에픽테투스 - 인생담 발췌
  • [✔] 마키아벨리 - 군주론
  • [ ] 셰익스피어 - 맥베스
  • [ ] 밀턴 - 출판의 자유
  • [ ] 스미스 - 국부론
  • [ ] 패더럴리스트 - 미합중국헌법
  • [ ] 토크빌 - 미국의 민주주의 발췌
  • [ ] 마르크스, 엥겔스 - 공산당 선언
  • [ ] 소로우 - 시민의 반항, 월든
  • [ ] 톨스토이 이반 일리치의 죽음

2 - 0/16

  • [ ] ** - 구약 중 전도서
  • [ ] 호머 - 오딧세이
  • [ ] 소포클레스 - 오이디푸스왕, 콜로누스의 오이디푸스
  • [ ] 플라톤 - 메논
  • [ ] 아리스토텔레스 - 니코마스 윤리학 발췌
  • [ ] 루크레티우스 - 우주론
  • [ ] 아우구스티누스 - 고백
  • [ ] 셰익스피어 - 햄릿
  • [ ] 데카르트 - 방법 서설
  • [ ] 홉스 - 리바이어던
  • [ ] 파스칼 - 명상록
  • [ ] 스위프트 - 걸리버 여행기
  • [ ] 루소 - 인간불평등기원론
  • [ ] 칸트 -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 [ ] 밀 - 자유론
  • [ ] 트웨인 - 허클베리 핀의 모험

3 - 0/16

  • [ ] ** - 구약 중 욥기
  • [ ] 아이스킬로스 - 오레스티아 삼부작
  • [ ] 투키디데스 - 펠로포네소스 전쟁의 역사
  • [ ] 플라톤 - 향연
  • [ ] 아리스토텔레스 - 정치학 발췌
  • [ ] 토마스 아퀴나스 - 신학대전 중 법률론
  • [ ] 라블레 - 가르강뛰아와 팡타그뤼엘
  • [ ] 칼빈 - 그리스도교강요
  • [ ] 셰익스피어 - 리어왕
  • [ ] 베이컨 - 대혁신
  • [ ] 로크 - 정치론
  • [ ] 볼테르 - 깡디드
  • [ ] 루소 - 사회계약론
  • [ ] 기본 - 로마제국 쇠망사
  • [ ] 도스토예프스키 -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 [ ] 프로이드 - 정신분석의 기원과 발달

4 - 0/16

  • [ ] 공자 - 논어 발췌
  • [ ] 플라톤 - 국가 발췌
  • [ ] 아리스토파네스 - 여인의 평화, 구름
  • [ ] 아리스토텔레스 - 시학
  • [ ] 유클리드 - 기하학제요(Elements of Geometry)
  • [ ] 마르크스 아우렐리우스 - 자성록
  • [ ] 엠페이리코스 - 절대회의설 제1권
  • [ ] ** - 니벨룽겐의 노래
  • [ ] 토마스 아퀴나스 - 신학대전 중 ‘진실과 허위에 대하여’발췌
  • [ ] 몽테뉴 - 수상록
  • [ ] 셰익스피어 - 템페스트
  • [ ] 로크 - 인간오성론
  • [ ] 밀튼 - 실락원
  • [ ] 흄 - 오성론
  • [ ] 니체 - 선악의 피안
  • [ ] 제임스 - 실용주의

5 - 0/15

  • [ ] 유리피데스 - 메디아, 히폴리투스, 트로이아의 여자
  • [ ] 플라톤 - 테아이테투스
  • [ ] 아리스토텔레스 - 물리학 발췌
  • [ ] 베르길리우스 - 아에네이드
  • [ ] 성 프란시스 - 작은 꽃
  • [ ] 토마스 아퀴나스 - 신학대전 중 ‘인간론’ 발췌
  • [ ] 단테 - 신곡 중 ‘지옥편’, ‘연옥편’, ‘천국편’
  • [ ] 미란드라 - 인간의 존엄에 대하여
  • [ ] 버클리 - 인지원리론
  • [ ] 뉴턴 -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 [ ] 보스웰 - 새뮤얼 존슨 전
  • [ ] 칸트 - 프롤레고메나
  • [ ] 울먼 - 일기
  • [ ] 멜빌 - 백경
  • [ ] 아인슈타인 - 상대성원리, 특수이론 및 일반이론

6 - 0/16

  • [ ] 아이스킬로스 - 사슬에 묶인 프로메테우스
  • [ ] 플라톤 - 파이드로스
  • [ ] 아리스토텔레스 - 형이상학 제7권
  • [ ] 룽기노스 - 숭고성에 대하여
  • [ ] 아우구스티누스 - 자연과 성총에 대하여, 성총과 자유 의지에 대하여 중 ‘신에 대하여’
  • [ ] 토마스 아퀴나스 - 신학대전 중 ‘신에 대하여’
  • [ ] 초오서 - 켄터베리 이야기 발췌
  • [ ] 셰익스피어 - 리차드 2세
  • [ ] 세르반테스 - 돈 키호테
  • [ ] 스피노자 - 윤리학
  • [ ] 흄 - 자연종교에 대하여
  • [ ] 볼테르 - 철학사전
  • [ ] 헤겔 - 역사철학 발췌
  • [ ] 다윈 - 종의 기원
  • [ ] 멜빌 - 빌리 버드, 파토프만
  • [ ] 제임스 - 나사의 회전

7 - 0/16

  • [ ] 플라톤 - 고르기아스
  • [ ] 아리스토텔레스 - 영혼에 대하여
  • [ ] 마하바라타 - 바가바드기타
  • [ ] 보에티우스 - 철학의 위안
  • [ ] 마이모니데스 - 방황하는 자를 위한 지침
  • [ ] 존 던 - 시집
  • [ ] 몰리에르 - 타르퓨프
  • [ ] 라이프니츠 - 형이상학
  • [ ] 칸트 - 도덕철학/실천이상비판
  • [ ] 괴테 - 파우스트
  • [ ] 쇼펜하우어 -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 [ ] 키에르케고르 - 철학적 단편 후서
  • [ ] 도스토예프스키 - 죽음의 집의 기록
  • [ ] 콘라드 - 어둠의 속
  • [ ] 프로이트 - 꿈의 해석
  • [ ] 조지 버나드 쇼 - 인간과 초인

8 - 0/15

  • [ ] 아리스토파네스 - 섬, 평화
  • [ ] 플라톤 - 파이돈
  • [ ] 아리스토텔레스 - 물리학 제2권
  • [ ] ** - 신약 중 로마서, 고린도 전서
  • [ ] 가레노스 - 천부의 기능 1 및 3
  • [ ] 셰익스피어 - 헨리 4세 1 및 2
  • [ ] 하비 - 혈액순환의 원리
  • [ ] 데카르트 - 영혼의 목마름
  • [ ] 밀턴 - 투우사 샘슨
  • [ ] 피히테 - 인간의 사명
  • [ ] 바이런 - 돈 주안
  • [ ] J.S. 밀 - 공리론
  • [ ] 니체 - 도덕의 계보
  • [ ] 헨리 아담스 - 헨리 아담스의 교육
  • [ ] 예이츠 - 시 14편

9 - 0/16

  • [ ] 호모 - 일리아드
  • [ ] 헤로도투스 - 역사
  • [ ] 플라톤 - 소피스트
  • [ ] 아리스토텔레스 - 분석론
  • [ ] 타키투스 - 연대기
  • [ ] 플로티노스 - 엔네아데스
  • [ ] 루터 - 가라테아 서평석 발췌
  • [ ] 갈릴레오 - 신과학대화
  • [ ] 라신 - 페드라
  • [ ] 비코 - 신과학
  • [ ] 발자크 - 고리오 영감
  • [ ] 마르크스 - 자본론 발췌
  • [ ] 입센 - 물오리
  • [ ] 제임스 - 심리학 21-22장
  • [ ] 보들레르 - 악의 꽃
  • [ ] 포앙카레 - 과학과 가절 4-5장
반응형